본문 바로가기
소설

[서평]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인간 존재를 탐구하는 매혹적인 이야기

by 책벌레감자 2024. 2. 16.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리뷰

책

총평

🥔감자의 한줄평

사랑을 통해 인간이라는 존재를 깊이 탐구하는 매혹적인 이야기.

 

🥔감자의 감상 요약

상징적 인물들의 사랑을 통해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이야기입니다. 무거움과 가벼움을 상징하는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독자를 탐구에 참여시킵니다.

 

인생은 무상하기도 하지만, 한 인생은 어떠한 모티프가 반복 연주되는 하나의 아름다운 악보이기도 합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텍스트로 포장된 존재에 대한 고찰을 조심히 뜯어보며 읽다 보면, 복잡한 생각 속에서 떠오른 나만의 답을 마주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자의 감상 포인트 추천

1. 무거움과 가벼움의 이미지

2. 반복성과 일회성

3. 키치와 비-키치


감상 포인트


1. 무거움과 가벼움의 이미지

그렇다면 무엇을 택할까? 묵직함, 아니면 가벼움?

 

  이야기 전반에 걸쳐 무거움과 가벼움의 이미지가 다양하게 형상화됩니다. 이 작품에서 가벼움과 무거움은 인생과 존재의 본질적인 대조를 나타냅니다. 쿤데라는 이러한 개념을 통해 삶의 의미, 선택의 중요성, 그리고 인간관계의 복잡성을 탐구합니다. 독자들은 이 대조를 통해 자신의 삶과 가치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기회를 얻습니다.

 

책 본문책 본문


2. 반복성과 일회성

인간의 삶은 마치 악보처럼 구성된다. 미적 감각에 의해 인도된 인간은 우연한 사건을 인생의 악보에 각인될 하나의 테마로 변형한다. 그리고 작곡가가 소나타의 테마를 다루듯 그것을 반복하고, 변화시키고, 발전시킬 것이다.

 

  이 작품에서 반복적인 것과 일회적인 것이 대비됩니다. 작가는 이러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인생의 순환성과 일회성을 탐구합니다. 반복은 인생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 변주되며 반복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일회성은 우리의 선택과 행동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상징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존재의 가벼움과 무거움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책 본문


3. 키치와 비-키치

  키치는 이 작품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작품의 키치 개념을 연구한 Hajji에 의하면, 쿤데라가 정의한 키치는 삶의 가혹한 현실을 부정하고 존재의 복잡성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하는 욕망을 나타냅니다.

 

  Hajji에 따르면 소설 속 인물들은 키치와 비-키치 사이에서 갈등합니다. 존재의 본질적인 가벼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비-키치)과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키치) 사이의 긴장을 겪습니다. 인물들은 이들 사이를 탐색하며, 사회적 규범과 기대가 지배하는 세계에서 개인의 자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투쟁합니다.

 

  키치 개념에 주목하여 인물들이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관찰해 보세요. 누가 가장 키치에 가까운지, 누가 가장 키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재미있습니다.

 

책 본문


주관적 감상

사비나의 외침과 해방감

"나의 적은 공산주의가 아니라 키치예요!"

 

  이 책을 덮고 난 뒤, 조금은 더 가볍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각기 다르게 살아온 인생에 정답이 없듯, 이 이야기를 읽고 난 뒤에 오는 느낌표는 독자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무겁게 읽어도, 가볍게 읽어도 좋은 작품인 것 같습니다.

책 본문

 

 

 

참고 문헌

권재일(Kwon, Jae-il). (2013). 밀란 쿤데라의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주제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33(), 27-51. 

Hajji, A. (2022). Kitsch et désir d'éternité dans L'Insoutenable Légereté de l'etre et L'Immortalité de Milan Kundera. Romanica Olomucensia34(1), 145-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