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서평]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

책벌레감자 2024. 3. 13. 15:45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 서평

책


총평

🥔감자의 한줄평

한국 사회의 절박한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안을 담고 있습니다. 

 

🥔 감자의 독서 포인트

- 사회적 돌봄 체계의 필요성

- 경제적 조건의 개선

- 성평등과 일·가정 양립의 중요성

 


감상


사회적 돌봄 체계의 필요성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으로 떠오르는 것에는 돌봄의 곤란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자는 초저출산 문제의 근본적 원인 중 하나로 돌봄 공백을 지목합니다. 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사회적 돌봄 체계의 부재는 개인과 가정에 과도한 부담을 지우며, 특히 여성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저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국가들의 사례를 들며, 사회적 돌봄 체계 강화를 주장합니다.

책 본문


성평등과 일·가정 양립의 중요성

  한편, 남녀를 불문하고 커리어가 중요해진 현실과 기존의 가부장적인 질서가 충돌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저자는 특히 여성의 경력 단절 문제와 '독박 육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성평등을 기반으로 한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복수의 정부 보고서의 분석과도 맥락을 같이하는 부분입니다.

 

책 본문


경제적 조건의 개선

  저출산 문제를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출산과 육아에 드는 비용이 지나치게 높다는 주장에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저자는 저출산의 또 다른 원인으로 경제적 불안정을 꼽습니다. 높은 주거비용, 교육비 부담 등은 젊은 세대가 결혼과 출산을 꺼리게 만드는 주요 요인입니다. 이에 저자는 합리적인 주거 정책, 교육비 지원 확대 등 경제적 조건 개선을 통해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책 본문



맺음말

원인이 명확함에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

  사실 현재 대한민국이 겪고 있는 초저출산 문제는 다양한 보고서들의 분석 결과가 대동소이할 정도로, 어느 정도는 원인이 명확하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그 원인 중 어느 것도 쉽사리 해결하기 어렵기에, 현금성 지원과 세제 혜택에 집중하고 있는 듯합니다. 반대로 말하면, 인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육아를 위한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막상 본인의 직장 동료가 얼마 뒤 육아 휴직을 사용한다고 하면 이를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 책은 한국 사회가 직면한 초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사회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참여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책 본문